본문 바로가기

畵 化 話

마르크 샤갈의 유대극장 패널 네 점



행복을 부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을 샤갈은 예술에서 찾았다.

샤갈은 1920년 이후 익살스러운 어릿광대, 곡예사, 서커스 연주자와 배우들에 몰두한다.
모스크바의 유대 예술극장의 장식을 맡은 이후의 변화였다.


몇 년 전 샤갈의 그림이 다시 들어온다 했을 때 망설이다가
결국 전시장을 다시 찾았다.

학창시절에 맛보았던 환타직한 샤갈의 그림을
내 아이에게도 보여주고 싶었던 게 표면적 이유라면
내심으로는 우리나라에 공개되지 않았다는 샤갈의 유대극장 시리즈가 꼭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유대극장 네 점의 대형 패널화는
춤, 연극, 음악, 문학을 주제로 한 우의적인 인물로 표현되어 있었다.
그리고, 나는 그 앞에서 내가 알던 샤갈과는 또다른 샤갈을 발견했다.

내가 알던 샤갈의 그림이 꿈, 동화, 성서 등 환타직한 메시지가 主였다면,
유대화  네 점은 많이 어두웠다.
유대극장 이전의 그림들이 상류층 취향이 물씬거리는 서구화라면,
소외된 계층을 모델로 한 민중적인 이미지의 사걀적 변신이었다.

 거리의 악사나 광대의 익살 속에서,
예술은 벽에 걸어두는 장식으로서의 가치보다는
대중의 마음을 즐겁고 행복하게 하는데 있다는 일종의 예술적 선언인 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음악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학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극